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친고죄 종류 유형

by VGBR 2024. 10. 23.
반응형

친고죄란?

친고죄는 피해자의 고소가 있어야만 처벌이 가능한 범죄를 의미합니다. 이는 범죄의 피해자가 처벌을 원하지 않으면 형사소송을 시작할 수 없도록 규정된 법적 장치입니다. 주로 친족 관계에서 발생하는 범죄나 개인의 명예와 관련된 범죄가 이에 해당합니다.

 

친고죄의 종류

  1. 상대적 친고죄: 이 범죄는 피해자와 범죄자 사이에 일정한 신분 관계가 있을 때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가족 간의 재산 범죄가 여기에 포함됩니다. 이 경우 피해자가 고소해야만 공소가 제기될 수 있습니다. 상대적 친고죄의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절도
    • 사기
    • 공갈
    • 횡령
    • 배임
  2. 절대적 친고죄: 피해자와 범죄자 사이에 신분 관계가 없을 때 적용되며, 피해자가 고소하지 않으면 공소를 제기할 수 없습니다. 대표적인 절대적 친고죄에는 다음과 같은 범죄가 포함됩니다:
    • 모욕죄
    • 비밀침해죄
    • 업무상 비밀누설죄
    • 사자명예훼손죄

이 두 가지 유형은 피해자와 가해자의 관계에 따라 달라지며, 친고죄의 공소 제기는 피해자의 고소 여부에 크게 의존합니다.

 

친고죄 고소 절차와 기간

친고죄는 고소가 반드시 필요하며, 고소는 범죄가 발생한 사실을 알게 된 날로부터 6개월 이내에 해야 합니다. 이 기간을 넘기면 더 이상 공소를 제기할 수 없습니다. 고소는 법원에 직접 하거나 경찰서를 통해 진행할 수 있으며, 고소가 취소될 경우 첫 심리 전까지는 가능하지만, 그 이후에는 고소권이 소멸됩니다.

 

비친고죄와의 차이

비친고죄는 피해자의 고소 없이도 공소를 제기할 수 있는 범죄입니다. 이러한 범죄는 대개 중범죄에 해당하며, 피해자가 고소를 하지 않아도 수사기관이 알아서 범인을 처벌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강간죄나 폭행죄가 비친고죄에 해당합니다.

 

악플 모욕 공소시효 도과 공소권없음 불송치

 

악플 모욕 공소시효 도과 공소권없음 불송치

최근 최순실씨가 자신에 대해 악플을 게재한 악플러들을 상대로 무더기 고소를 한 사실이 있습니다. 이에 대해 블로그에서도 다룬 적이 있는데요, 쟁점은 ①친고죄인 모욕의 경우 고소기간이

brunch.co.kr

 

친고죄는 피해자의 의사에 따라 범죄의 처벌 여부가 결정되는 만큼, 피해자는 신속하게 고소를 진행해야 하며, 가해자는 법적 대응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법적 조언이 필요한 경우 변호사와 상담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친고죄에 대한 이해는 법적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