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에게도 혈액형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사람처럼 ABO 혈액형으로 나뉘지는 않지만, 강아지의 혈액형은 DEA(Dog Erythrocyte Antigen) 시스템을 기반으로 분류됩니다. 현재까지 밝혀진 강아지의 혈액형은 13가지이며, 이 중 일부는 수혈 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강아지 혈액형의 종류
강아지의 혈액형은 DEA 1.1, DEA 1.2, DEA 3, DEA 4, DEA 5, DEA 7 등으로 나뉩니다.
- DEA 1.1 양성: 가장 흔한 혈액형으로, 수혈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DEA 1.1 음성: 응급 수혈 시 안전한 공여 혈액으로 사용됩니다.
- DEA 4: 대부분의 강아지가 가지고 있으며, 비교적 안전한 혈액형입니다.
- DEA 7: 수혈 시 면역 반응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려동물 건강이야기] 주인님 제 혈액형을 아시나요? - 헬스경향
[반려동물 건강이야기] 주인님 제 혈액형을 아시나요? - 헬스경향
갑작스러운 출혈이나 심한 빈혈이 발생하면 가장 필요한 치료가 바로 ‘수혈’이다. 반려동물에게도 수혈이 필요할까 생각할 수 있지만 수혈은 피가 부족한 응급상황에 없어서는 안 되는 치료
www.k-health.com
강아지 혈액형과 수혈
강아지는 사람과 달리 여러 개의 혈액형을 동시에 가질 수 있습니다. 이는 강아지의 혈액형이 항원 여부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 DEA 1- 혈액형은 사람의 O형과 비슷한 역할을 하며, 다른 혈액형에 수혈할 수 있지만 받을 수는 없습니다.
- DEA 4 혈액형만 가진 강아지는 수혈 시 부작용이 거의 없어 헌혈견으로 환영받습니다.
강아지 혈액형 검사와 헌혈
강아지의 혈액형 검사는 동물병원에서 전용 키트를 이용해 1~2분 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강아지 헌혈은 조건이 까다롭지만, 응급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헌혈견이 되려면 25kg 이상, 2~8세, 건강한 상태여야 하며, 매월 심장사상충 및 기생충 예방을 해야 합니다.
강아지에게도 혈액형이 있으며, 이는 응급 수혈 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려견의 건강을 위해 혈액형을 미리 확인해 두는 것이 좋으며, 헌혈견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강아지 혈액형에 대해 더 알아보고, 반려견의 건강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활용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