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실업급여 모의계산

by VGBR 2024. 10. 2.
반응형

실업급여는 고용보험에 가입된 근로자가 실직 시 재취업 활동을 하는 동안 생계 안정을 위해 지급되는 급여입니다.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조건과 예상 수급액을 미리 계산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실업급여 모의계산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실업급여란?

실업급여는 고용보험에 가입된 근로자가 비자발적으로 실직했을 때, 재취업 활동을 하는 동안 일정 기간 동안 지급되는 급여입니다. 실업급여는 크게 구직급여와 취업촉진수당으로 나뉩니다. 구직급여는 실직 후 재취업 활동을 하는 동안 지급되며, 취업촉진수당은 조기 재취업 시 지급됩니다.

 

실업급여 모의계산 방법

  1. 고용보험 가입 기간 확인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이직일 이전 18개월 동안 최소 180일 이상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어야 합니다. 고용보험 가입 기간을 확인하는 것이 첫 번째 단계입니다.
  2. 평균 임금 계산
    실업급여는 이직 전 3개월 동안의 평균 임금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최근 3개월간의 급여 총액을 3으로 나누어 평균 임금을 구합니다.
  3. 일일 실업급여액 계산
    평균 임금의 50%를 일일 실업급여액으로 설정합니다. 단, 일일 실업급여액은 법적으로 정해진 상한액과 하한액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4. 지급일수 확인
    실업급여는 근로자의 연령과 고용보험 가입 기간에 따라 지급일수가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최소 120일에서 최대 270일까지 지급됩니다.
  5. 총 실업급여액 계산
    일일 실업급여액에 지급일수를 곱하여 총 실업급여액을 계산합니다.

실업급여 계산기 - 사람인 (saramin.co.kr)

 

실업급여 계산기 - 사람인

실업급여 계산기 | 월급으로 확인하는 실업급여 계산기 - 사람인

www.saramin.co.kr

 

예시 계산

예를 들어, 최근 3개월간의 월급이 각각 200만 원, 210만 원, 220만 원인 경우, 평균 임금은 (200만 원 + 210만 원 + 220만 원) / 3 = 210만 원입니다. 이 평균 임금의 50%인 105만 원이 일일 실업급여액이 됩니다. 만약 지급일수가 150일이라면, 총 실업급여액은 105만 원 × 150일 = 1억 5750만 원이 됩니다.

 

주의사항

  • 비자발적 퇴사: 실업급여는 비자발적 퇴사(경영상 해고, 권고사직 등)일 경우에만 지급됩니다.
  • 재취업 활동: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재취업 활동이 필요합니다. 고용센터에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구직 활동을 보고해야 합니다.
  • 신청 기한: 실업급여는 퇴직 후 12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실업급여는 실직 후 생계 안정을 위해 중요한 제도입니다. 모의계산을 통해 예상 수급액을 미리 확인하고, 필요한 절차를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