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은 비교적 지진 빈도가 낮은 나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 몇 년 동안 지진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2016년 경주 지진과 2017년 포항 지진은 상당한 피해를 남겼습니다.
주요 지진 사례
- 경주 지진 (2016년)
- 규모: 5.8
- 피해: 건물 파손, 도로 균열, 인명 피해 등
- 특징: 경주 지진은 한반도에서 발생한 가장 강력한 지진 중 하나로 기록되었습니다. 이 지진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대피하였으며, 이후에도 여진이 계속되었습니다.
- 포항 지진 (2017년)
- 규모: 5.4
- 피해: 건물 붕괴, 학교 및 병원 파손, 대규모 정전 등
- 특징: 포항 지진은 다수의 건물에 큰 피해를 입혔으며,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일시적인 주거지로 이동해야 했습니다. 이 지진은 또한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연기시키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국내지진조회 - 기상청 날씨누리 (weather.go.kr)
국내지진조회 - 기상청 날씨누리
개편된 날씨누리 홈페이지 첫 화면에서 지도를 통한 실시간 기상정보와 레이더영상, 전국 특보 현황을 조회할 수 있으며, 내 지역의 현재 기상상황과 대기질 상태, 일출/일몰 시각을 확인할 수
www.weather.go.kr
지진 피해 대응
지진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평소 대비가 중요합니다. 지진 발생 시 행동 요령을 숙지하고,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합니다.
지진 대피 요령
지진 발생 시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아는 것은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지진 발생 시 상황별 행동 요령입니다.
- 실내에 있을 경우
- 튼튼한 탁자 아래로 들어가 몸을 보호합니다.
- 흔들림이 멈춘 후 전기와 가스를 차단합니다.
- 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한 후 밖으로 대피합니다.
- 실외에 있을 경우
- 가방이나 손으로 머리를 보호하며, 넓은 공간으로 대피합니다.
- 유리창, 간판 등에서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 공터나 공원 등 넓은 공간으로 이동합니다.
- 엘리베이터에 있을 경우
- 모든 층의 버튼을 눌러 가장 먼저 열리는 층에 내린 후 계단을 이용해 대피합니다.
- 지진 시 엘리베이터를 타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 상점이나 극장에 있을 경우
- 떨어지는 물건으로부터 몸을 보호합니다.
- 흔들림이 멈춘 후 안내에 따라 대피합니다.
정부의 대피 지침
정부는 국민들에게 지진 발생 시 행동 요령을 숙지하고, 상황별로 올바르게 대처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지진은 예측이 어려운 재난이므로, 평소에 대비하고 적절한 행동 요령을 익혀 두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추가 대비 사항
- 집 안의 가구나 가전제품을 고정하여 넘어지지 않도록 합니다.
- 비상용품을 준비해 두고, 가족과의 대피 계획을 세워 둡니다.
- 주변의 대피소 위치를 파악하고, 대피 경로를 미리 숙지해 둡니다.
지진은 예고 없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대비하고 있어야 합니다. 위의 행동 요령을 잘 숙지하여 위급 상황 시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합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