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투자 유치 시 대표자 지분율과 경영권 방어

by VGBR 2024. 8. 29.
반응형

회사의 대표가 지분율이 50% 이하로 떨어질 경우, 경영권 방어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려는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추가 투자를 유치할 때, 대표자의 지분율이 낮아질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및 실무적 문제를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지분율 변화가 경영권 방어와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투자기관들이 지분을 활용하여 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

 

지분율 변화와 경영권 방어

대표자의 지분율이 68%에서 50% 이하로 떨어질 때, 경영권 방어에 중요한 몇 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1. 경영권 방어와 지배권
  2. 대표자의 지분율이 50% 이하로 떨어지면, 경영권 방어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특히, 지분율이 낮아지면 의사결정 과정에서의 영향력도 줄어들게 됩니다. 이때, 기존 투자자 및 신규 투자자들이 회사의 주요 결정을 좌우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게 되며, 대표자의 의도와는 다른 방향으로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3. 보통결의사항과 특별결의사항
    • 보통결의사항: 대표자가 지분율을 50% 이하로 떨어뜨릴 경우, 보통결의사항에서 일부 결의는 통과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사, 감사, 청산인의 선임, 보수 결정 등은 보통결의사항으로, 일반적으로 과반수의 찬성이 필요합니다. 대표자의 지분율이 낮아지면, 이러한 결의가 통과되지 않을 위험이 있습니다.
    • 특별결의사항: 특별결의사항은 통상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필요합니다. 대표자의 지분율이 50% 이하로 떨어지면, 특별결의사항의 통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정관 변경, 자본금 감소, 영업의 중요한 양도 등 중요한 결정들은 보다 높은 지분 비율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4. 보통결의사항과 특별결의사항의 처리 방식은 지분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창업자 사이에 지분은 어떻게 나누어야 할까요? (tistory.com)

 

창업자 사이에 지분은 어떻게 나누어야 할까요?

창업자 사이에 지분은 어떻게 나누어야 할까요? 목 차 1. 먼저, 상법상 비상장 주식회사의 지분율에 따라 주주가 갖는 권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2. 회사 설립 시 대표자의 지분율(또는

skkimlaw.tistory.com

 

투자기관의 권리와 영향

  1. 대표자 해임
  2. 투자기관들이 지분율을 합쳐서 대표자 해임 등의 결정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은 매우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지분율이 33.4% 이상의 투자기관들은 특정 결의사항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표자 해임과 같은 주요 결정은 보통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단일 투자기관만으로는 대표자 해임이 어렵습니다. 여러 투자기관이 협력하면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3.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4. 대표자의 지분율이 낮아지면, 의사결정에서 투자기관들의 의견이 더 많이 반영될 수 있습니다. 이는 투자기관들이 공동으로 특정 결정을 내리거나, 의사결정 과정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특히 투자기관들이 주주총회에서 결의 사항을 통과시키기 위해 지분을 집중하여 대표자의 권한을 제한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스타트업, 동업과 투자유치, 그리고 경영권 리스크 - 바이오스펙테이터 (biospectator.com)

 

스타트업, 동업과 투자유치, 그리고 경영권 리스크

페이스북의 성장과정을 소개한 영화 '소셜네트워크'에서는 마크 주커버그의 절친인 왈도 세브린이 페이스북의 지분을 약속받고 투자를 한 후, 마크 및

www.biospectator.com

 

대표자의 지분율이 50% 이하로 떨어질 경우, 경영권 방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의사결정 과정에서도 중요한 변화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보통결의사항과 특별결의사항의 처리 방식이 변경될 수 있으며, 투자기관들이 지분을 활용하여 경영에 영향력을 행사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이러한 변화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투자자들과의 관계를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적절한 전략을 통해 경영권을 안정적으로 방어하고, 회사의 장기적인 성공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